한국의 물가는 세계적으로 어떤 수준인가
댓글 0

작성자 : 가지마라
게시글 보기
(주의)
단순 상대적인 타국가 대비 물가비교 통계 자료로 
 
한국은행, OECD,투자증권,ICP물가수준지수, PWT 지수, 사용자 입력 데이터 기반의 넘베오 생활비지수등 다방면 데이터를 활용해 비교.
 
 
 
 
1.전체적인 물가 수준
 
스포츠중계,무료스포츠중계,해외스포츠중계

한국은행+oecd 통계에 의하면
 

주요국과 비교시 국내 식료품 및 의류 등 필수소비재의 가격과 집값은 타 국가대비 매우 상당히 높고, 가격격차도 품목별로 매우 큼

반면 정부정책의 직,간접적 영향으로 공공요금이나 월세는 주요국 대비 상당폭 낮게 유지됨

 

 

 

스포츠중계,무료스포츠중계,해외스포츠중계

 

식료품, 의류, 주거 등 의식주 비용은 OECD 평균보다 매우 크게 높은 반면, 전기/가스, 교통 등 공공요금은 크게 낮은편.

 

또한 

주택 임대료 및 소득대비 집값 비율(PIR)  등 주거비용도 주요국 대비 상당히 높은 상황. 

스포츠중계,무료스포츠중계,해외스포츠중계

 

+ 식료품에서는 사과, 쇠고기, 감자 등 농축산물 중심으로 OECD 평균보다 매우 높고, 옷, 구두 등의 필수 소비재 의류도 가격이 타 국가대비 상대적으로 매우 높음

 

스포츠중계,무료스포츠중계,해외스포츠중계

식료품과 의류와는 다르게 공과금 전기 가스 그 외 교통 수도등

에너지 및 공공 기반 인프라 비용은 타국가대비 매우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음

 

 

2 집값

 

스포츠중계,무료스포츠중계,해외스포츠중계

 

스포츠중계,무료스포츠중계,해외스포츠중계

 

집값 비교시 한국은 타국 대비 매우 기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음

타 주요 국가들은 국부 자산에 부동산 비중이 30% 미만인 반면 

한국은 부동산에 가계 자산이 80%에 육박할정도로 토지자산에 쏠려있음

 

또한 한국의 부동산 관련 세금 부담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편

특히 2021년 기준 한국의 GDP 대비 부동산 관련 세금 비중은 6.274%로, OECD 38개국 중 압도적인 1위.

이는 2위인 영국(4.337%)과 약 2% 격차를 보이며, OECD 평균(1.986%)의 약 3배 수준.

 

스포츠중계,무료스포츠중계,해외스포츠중계

 

Oecd 기준 우리나라의 GDP대비 땅값(토지자산총액)은 501%이고, GDP 대비 부동산값은 786%인데 이는 다른 국가들보다 200%p 이상 차이가 날 정도로 월등히 높은 상태.

 

 

 

스포츠중계,무료스포츠중계,해외스포츠중계

 

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전세계 수도비교시 한국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, 즉 한국 집값 PIR 지수 기준

세계에서 가장 높은축이라는걸 보여주는 반면 

원룸 기준 월세는 타국가대비 현저히 낮음.

 

하지만 국가대비 현저히 높은 보증금+소득대비 수도권의 높은 집값이 월세를 상쇄하여 oecd국가 중 주거비 부담이 매우 큰 나라로 분류됨

 

2.줄 요약 

1.한국의 월세 및 공과금(수도 전기 가스 교통 비용)은 세계 주요국가 중 소득대비 최저 수준

2. 반면 한국 의식주와 같은 필수소비재  비용부담은 oecd 중 매우 높은 수준

 

 

 

교육분야도 넣을려다 애매해서 제외시킴..공교육 부분에서도 한국은 미국 다음으로 지출비용이 높은 편이고 사교육은 gdp대비 가장 부담이 큼



가지마라님의 최신 글
유머게시판
제목
  • 길거리에서 파는 렌탈 여친 서비스
    518 49분전
  • 오피셜 교대 6등급도 합격함 
    571 51분전
  • 아들이 엄마 못알아봐서 당황한 엄마 
    515 52분전
  • 60대 청년의 미친 피지컬
    579 54분전
  • 집에 방치된 어린 딸과 대형견
    530 56분전
  • 싱글벙글 밥 먹을때 남자들 특징
    599 1시간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