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역 사람들이 해적선인 줄 알았던 난파선의 비밀
댓글
0
05.11 17:40

중앙아메리카의 작은 나라인 코스타리카는
국토 대부분이 원시림으로 쌓여있는
현대 자연의 보고이기도 한데
코스타리카의 남동쪽 카리브해 연안에는
오래된 배 두척이 난파선으로 침몰해 있었고
사람들은
배의 잔해들이 여기저기 널려있다는 것을 보고
싸우다가 공멸한 해적선이라고 알고 있었음
하지만 2015년, 연구자들이 잔해더미에서
노란색 벽돌을 찾아내면서 이야기가 급변함
이 벽돌은 1700~1800년대에
덴마크와 그 식민지에서만 사용하던 것이기 때문임
또한 타버린 나무 잔해들의 연대와 성분도
이 배가 1600년대 후반에 만들어진
덴마크 배라는 것을 확고하게 알려줌
그렇게 밝혀진 두척의 선박은
바로 1690년대 건조된 덴마크 해군의 기함
프레데리쿠스 콰르투스호와
호위함인 크리스티아누스 퀸투스호로 밝혀짐
이 배는 해군의 기함이기도 했지만
그 거대함 때문에 아프리카 가나에서
흑인 노예들을 싣고 오던 노예선이기도 했는데
1700년대 초에 침몰했다는 기록만 있을 뿐
그 잔해를 발견하지 못했음
역사적 자료에 따르면
가나에서 출항한 프레데리쿠스 콰르투스호에서
노예들에 의한 선상 반란이 시작됐지만
곧바로 진압되면서 주동자는 손목이 잘렸고,
이후 크리스티아누스 퀸투스호와 같이 덴마크로 가던 중
악천후를 만나 세인트 토마스 섬에서 보급하려다
길을 잃게 됨
결국 항해가 길어지면서 식량은 부족해졌고
어딘지 모르는 해안에 도착한 선원들은
(상품성을 위해) 노예에게도
최소한의 밥을 먹여야 하니
다 같이 굶어죽을 바에는
그냥 노예들을 풀어주자며
반란을 일으켰는데
선장들도 굶어죽기는 싫었는지
노예를 풀어주기로 함
그렇게 약 600명 이상의 아프리카 노예들은
어딘지도 모르는 해안가에 버려지고
그렇게 노예들이 (자유롭게) 버려진 뒤
기함인 프레디리쿠스 콰르투스호는 불이 붙어 침몰,
호위하던 크리스티아누 퀸투스호는
닻이 끊어지며 파도에 산산조각 남
이 침몰사건이 역사적인 이유는 코스타리카에 사는
흑인 혈통의 뿌리가 드디어 밝혀졌다는데에 있어
이는 기존에 알려졌던 것보다 100년은 더 먼저
아프리카인이 코스타리카에 살고 있었다는 것을 증명한다고 함